후절수(後切手)
<후절수>는 글자 그대로 <다음에 끊는 수>라는 뜻인데 그림으로 설명하는 편이 이해하기 쉽다.
기본형(백선)
흑1로 일부러 키워서 상대방으로 하여금 따내도록 한 다음, <자충수>를 이용해서 몇점을 되따내는 수단을 <후절수>라고 한다.
1도
<기본형>에서 백2로 흑 넉점을 따낸 모습이다. 이 따낸 자리를 흑A로 끊으면, 백 석점은 그대로 잡히고 만다. 이렇게 해서 <눈>을 만드는 경우가 흔히 있다.
2도
흑1쪽에서 단수하면 백2로 흑 석점을 따내고 말아 <후절수>가 성립되지 않는다.
유제1(흑선)
흑을 살리는 방법은?
정해도
흑1로 단수로 몰고, 3으로 잇는 것이 <후절수>를 만드는 수법이다. 백6으로 흑 넉점을 따내면 흑은 ▲의 곳을 두어 다시 백 석점을 잡고 산다.
실패도
<정해도>의 흑3처럼 잇지 않고 단수하면 백4로 먹여치는 수가 있다. 흑5로 백 두점을 따내면 백6으로 △의 곳에 다시 먹여쳐 흑이 잡힌다.
유제2(흑선)
흑이 사는 수는?
정해도
먼저 흑1로 <궁도>를 최대한으로 넓힌다. 백2, 4에 흑3, 5로 따내고 계속해서.....
정해도 계속
백6으로 먹여칠 때 바로 따내지 않고 7로 잇는 것이 중요한 수법이다. 이 다음, 백A로 흑 넉점을 따면 흑은 따낸 자리인 ▲의 곳을 끊어 백 두점을 잡는다.
유제3(백선)
흑1의 치중수에 대해 백은 어떻게 대처해야 하는가?
정해도
당연히 백2로 차단하고 흑3에는 백4으로 흑 두점을 따낸다. 다음 수가 문제인데.....
정해도 계속
흑5의 먹여치기에 대해서 백6으로 잇는 것이 이제까지의 수법과 동일하다. 흑이 A로 다섯점을 따내면, 백은 △의 따낸 자리를 두어 <후절수>로 산다.
유제4(흑선)
과연 수가 날 것인가? 그렇다면 그 결과는?
참고도
흑1 이하 5까지 두어 백A로 따내게 하는 것이 <후절수>의 멋진 수법이다. 다음에 따낸 자리인 흑3의 곳을 다시 두어 백이 죽는다.
정해도
흑1 때 백2로 잇지 않을 수 없으며, 백4에는 흑5로 들어가 백 전체를 잡으려 든다. 백의 입장에서는 패를 만드는 것이 최선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