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근사전 제137 아주 쉬운 문제다. 정해도 백의 바깥 공배가 다 메워져 있어 백이 A, B 어느 곳을 두어도 자충이 되므로 백이 살지 못한다. 변화도 만일 백2로 이어서 응하면 흑3으로 키운 다음 흑5로 먹여치는 수가 있다. 맥(手筋)공부/手筋辭典 2023.04.10
수근사전 제136 하변 백진 속에 갇힌 흑 3점. 흑의 묘수 한방으로 불가사의한 결과가 일어난다. 정해도 흑1의 찝는 수가 묘수. 계속해서..... 정해도 계속 수순 중 백2를 3에 이어 변화를 구하면 흑2로 끊어 결과는 대동소이하다. 정해 진행도 맥(手筋)공부/手筋辭典 2023.03.28
수근사전 제135 주객전도. 백에 포위된 흑 5점이 빈사 상태처럼 보이지만, 한 수로 생환이 가능해 오히려 백을 잡을 수 있다. 정해도 흑1에 찝는 수가 맥이다. 만일 백2로 응하면 흑3 이하 7까지 백 3점을 잡는다. 흑1은 한눈에 딱 봐야한다. 정해 진행도 맥(手筋)공부/手筋辭典 2022.10.19
수근사전 제134 하변 백진은 언뜻보기에 완전한 집으로 보이지만, 실제는 좋지않은 약점이 있다. 흑의 일격으로 집이 부서질 뿐 아니라 사활 문제도 걸려있다. 흑의 일격은 과연 어느 곳일까? 정해도 흑1이 절묘한 붙임 맥이다. 계속해서..... 정해도 계속 백2로 응하면 흑3 이하 7까지 백 넉점을 잡는다. 백은 사활이 걸리므로 15까지 상전벽해가 되었다. 맥(手筋)공부/手筋辭典 2022.09.22
수근사전 제133 좌하귀 백 일곱점을 우변과 연결하고픈데, 어려워 보인다. 평범한 수법으로는 통하지 않아 보인다. 정해도 백1의 배붙임이 맥이다. 계속해서..... 정해도 계속 흑2로 흑3에 이으면 백2로 즉시 넘는다. 백3 이하 13까지 필연의 수순으로 백이 산다. 정해진행도 맥(手筋)공부/手筋辭典 2022.09.16
수근사전 제132 왼쪽 흑 7점이 살지 못했지만, 바깥 백이 불안정하여 방법이 있어 보인다. 실전에서는 간과하기 쉬운 맴점이 있다. 정해도 흑1로 찝는 수가 백 6점의 연결이 불안한 점을 노린 맥점으로 간단하게 잡을 수 있다. 계속해서..... 정해도 계속 백2면 흑3 이하 7까지 . 맥(手筋)공부/手筋辭典 2022.09.02
수근사전 제131 대마가 서로 이리저리 얼키고 설켜있으며, 백이 절단한 후 자주 나타나는 모양이다. 이때 백은 한수로 능히 해결할 수 있는 맥이 있다. 정해도 백1의 배붙임이 맥. 흑2는 백3으로 그만이다. 많이 알아둘수록 유용하다. 맥(手筋)공부/手筋辭典 2022.08.24
수근사전 제130 귀에서 자주 등장하는 정석 모양이다. 흑은 A에 끊기는 단점이 있지만 귀의 백을 잡기 위해 속도를 늦출 필요가 없다. 정해도 흑1, 백2 교환 후 흑3에 붙이는 것이 맥. 이런 식으로 간단히 귀의 백을 잡는다. 이런 모양은 바둑에서 자주 나타나기 때문에 더 많이 연구하는 것이 유용하다. 맥(手筋)공부/手筋辭典 2022.08.17
수근사전 제129 과 비슷하지만, 쌍방 모두 정확하게 처리하기는 어렵다. 좌변에 백돌이 있으므로 백은 이 돌을 활용할 수 있어야 한다. 정해도 좌변 백 한점이 있어 흑1로 붙였을 때 백2 이하 8까지 봉쇄하는 수법이 성립한다. 이하 14까지 백은 좌변을 효과적으로 만들고 있음을 볼 수 있다. 참고도 흑1 때 만약 백2로 응수하면, 흑3, 흑5로 백 한점이 잡혀 백이 나쁘다. 이렇다면 흑1의 맥점이 완전 성공한 것이다. 맥(手筋)공부/手筋辭典 2022.08.13
수근사전 제128 좌하귀 백돌이 분단되어 고전이다. 그런데 구하는데는 별 문제없어 보인다. 이런 바둑을 해결하는 것은 큰 기쁨이다. 정해도 쌍립되는 백1에 붙이는 수가 맥. 이렇게 되면 흑4점은 움직이지 못한다. 만약 흑A면 백B로 흑은 손실만 늘어날 뿐이다. A, B는 맞보기. 맥(手筋)공부/手筋辭典 2022.08.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