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근대사전 제61형 수근대사전 제61형 문제도(흑선) 흑은 중앙과 귀의 백을 분리시켜야 유리한 싸움을 할 수 있다. 정해도 흑1 단수에 백2로 도망가면 3으로 잇는 것이 좋다. 백4로 끊어 단수하고 백6에 손이 돌아가면 흑7, 9까지 우변에 힘이 실려 백의 고전이다. 실패도 흑1로 단순히 잇는 것은 완착이다. 백2, 4.. 맥(手筋)공부/手筋大事典 2017.09.03
수근대사전 제60형 수근대사전 제60형 문제도(흑선) 흑백이 서로 끊고 있는 장면이다. 흑은 끊어져 있는 돌을 활용하여 백을 강경하게 공격하고 싶은데..... 정해도 흑1의 단수가 맥점이다. 백2면 흑3으로 잇는 것이 순조로운 기세. 이로써 흑은 중앙 백 두점과 흑A로 붙여 우변 백을 공격하는 것을 맞보기한다. .. 맥(手筋)공부/手筋大事典 2016.09.03
수근대사전 제59형 수근대사전 제59형 문제도(흑선) 흑의 입장에서 우하의 모양을 어떻게 결정하느냐 하는 문제. 흑은 백을 절단하고 있는 흑▲ 한점의 도움을 받아 백을 공격하고 싶다. <축>은 흑이 불리한 것으로 한다. 정해도 흑1로 단수하고 3으로 잇는 것이 올바른 행마다. 백2로 잇는 자체가 무거운 .. 맥(手筋)공부/手筋大事典 2016.09.01
수근대사전 제58형 수근대사전 제58형 문제도(흑선) 화점 정석의 변화이다. 귀의 흑 한점이 단절되어 뿔뿔히 흩어져 보이지만 백도 약점이 있어 흑을 서로 연결할 수 있다. 정해도 먼저 흑1로 단수하고 백2에 흑3으로 잇는 것이 최선의 맥점이다. 이어서..... 정해도 계속 백4, 6으로 흑 한점을 취하더라도 7로 단.. 맥(手筋)공부/手筋大事典 2016.07.31
수근대사전 제57형 수근대사전 제57형 문제도(흑선) <제56형>과 동일한 모양에서 우변 화점에 흑▲ 돌이 하나 더 추가된 모양임. 과연 <축>이 될까? 정해도 흑1로 몰고 3으로 이었을 때 백4로 수를 조이기 시작한 것은 백△이 <축>에 걸린다는 뜻이다. 그런데..... 정해도 계속 흑5부터 29까지 백은 <.. 맥(手筋)공부/手筋大事典 2016.07.19
수근대사전 제56형 수근대사전 제56형 문제도(흑선) 화점 정석에서 생긴 변화이다. 백이 강경하게 절단했을 때 산산조각난 흑은 어떻게 수습해야 할까? 정해도 흑1로 단수, 백2로 달아날 때 흑3으로 잇는 수가 좋다. 백은 4로 상변 흑 두점을 잡을 수밖에 없는데..... 정해도 계속 흑5로 한번 더 몰고 7로 장문한.. 맥(手筋)공부/手筋大事典 2016.06.25
수근대사전 제55형 수근대사전 제55형 문제도(흑선) 우변 모양을 마련하기 위해 중앙 흑을 공격하면서 모양을 확대하려는 백에게 흑은 반격을 가하고 싶다. 정해도 흑1의 단수가 준엄하다. 정해도 계속 백2로 달아나는 순간 백 두점은 무거워지고 흑은 3으로 진출해 하변 백과 중앙 백을 분리시킨다. 이어서..... 맥(手筋)공부/手筋大事典 2016.06.15
수근대사전 제54형 수근대사전 제54형 문제도(백선) 요석인 상변 백 석점을 어떻게 구할 것인가? 한 수 삐끗하면 되돌일 수 없는 형국이 된다. 정해도 백1의 단수 외에는 없다. 계속해서..... 정해도 계속 흑2로 도망가면 백은 3, 5로 강화를 하는데, 이때 흑은 D쪽에 손이 갈 틈이 없다. 당장 백B의 <축>에 걸.. 맥(手筋)공부/手筋大事典 2016.06.04
수근대사전 제53형 수근대사전 제53형 문제도(흑선) 끊고 있는 백 한점이나 중앙의 백 두점 중 한쪽를 잡으면 흑은 수습이 가능하다. 정해도 먼저 흑1로 단수하고 백2로 나가면 흑3으로 따라 나간다. 정해도 계속 백4에서 6의 처리는 중앙 백△ 두점을 지키려는 것이지만..... 정해도 계속 흑7에서 11까지 백이 <.. 맥(手筋)공부/手筋大事典 2016.05.25
수근대사전 제52형 수근대사전 제52형 문제도(흑선) 화점 정석의 변화. 백의 귀붙임에 흑이 젖히자 백이 재차 끊었다면 흑의 대응은? 정해도 흑1의 단수가 준엄하다. 2로 빠지면 흑3으로 쫓는 것이 수순이다. 정해도 계속 계속해서, 백은 4, 6으로 처리하는 정도. 흑은 先手로 귀를 굳힌 것이 중요하다. 백4로 5에.. 맥(手筋)공부/手筋大事典 2016.05.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