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목 정석에서
1도
흑1로 외목의 백에 대해 걸치는 것을 높은 걸침이라고 한다. 그 외에 A의 소목에 걸치는 것과 B의 <3.三침입>이 보통이다. 그런데 이렇게 높게 걸치는 것은.....
2도
백△이 위쪽에 있거나 백의 세력이 위쪽에 있는 경우, 흑1로 소목에 걸치면 백2의 어깨짚는 수가 준엄해진다. 그런데 백은 2의 곳 말고, 백A의 <대사(大斜)>로 씌워올지도 모른다.
이러한 백의 의도를 봉쇄하기 위해서 <1도>의 흑1로 높게 걸친 것이다. <1도> 다음.....
3도
백도 2, 4로 귀를 크게 확보하는 것이 가장 일반적이다(백2로 A에 붙이는 정석도 있다). 그런데 문제는 여기서 시작된다. 정석에서는 이 다음.....
4도
흑5로 벌리는 것이 상투수법이다. 부분적으로는 이것으로 호각의 갈림이어서 일단락이다. 그런데 계속해서.....
5도
▲과 △을 교환한 다음, 백1에는 흑2, 4로 맞끊어서 흑A의 건너붙임수를 본다는 것은 이제 상식적이다.
그러면 <3도>의 백4로 내려서는 대신.....
6도
백1로 밀어 올리는 수도 있다는 것을 알아두자.
이때는 흑2가 중요한 수이다. 이것을 생략해서 백2의 젖힘수를 당하면 흑의 모양이 파괴된다. 그래서 백도 3으로 마늘모해서 흑A의 붙임수에 대비, 흑4로 벌려서 일단락이다. <4도>와는 일장 일단이 있어서 어느쪽을 선택하느냐는 것은 주위의 상황에 따라 결정된다. 또 흑4의 벌림은 <이립삼전>의 원칙에서 본다면 한칸 먼 B의 곳이지만, 4의 곳이 견고하다.
7도
이번에는 <4도>의 흑5로는, 왜 그림처럼 1의 곳에 두지않았는가 하는 문제가 남는다. 그것은 흑1이라면 당연히 백2로 지킬 것이므로, 다음에 흑A를 생략할 수 없어 <후수>가 되는 것이 불만이기 때문이다.
그러면 여기서 묘수(맥)의 문제로 들어가, 만약 백2를 생략하면 어떻게 될끼?
8도
흑1로 건너붙이는 맥이 성립한다는 것은 이미 공부한 것이다.
9도
백2에 흑3으로 끊는데, 배운바로는 백A, 흑B가 된다고 했지만..... 여기서 백B로 늘면 어떻게 될까, 하는 의문도 남는다. 계속해서 그 의문을 밝혀 보자.
10도
백4에는 흑5의 마늘모가 묘수이며 이것으로 아래쪽 백 석점을 무조건 잡을 수 있다. 그런데 이 흑5로 욕심껏 A의 곳에 내려서면, 백B로 뛰는 맥이 있어서 아주 귀찮은 변화가 된다. 그러면 이 흑5로.....
11도
직접 흑1, 3하여 잡으려면 어떻게 될까?
역시 백의 날카로운 묘수가 있다. [4. 끊는 수(2) 참조]
12도
백4로 끊어 흑5에 백6으로 젖히는 묘수가 있다. 결과는 물론 <이단 패>가 된다. 무조건으로 잡는 묘수(맥) <10도>가 있는데 이렇게 <패>를 만들 필요가 없다.
정석과 묘수(맥)의 관계는 이처럼 정석에서 한수를 잘못 두거나 생략하면, 즉시 강력한 묘수(맥)가 생기는 것이다.
'기초공부 > 묘수첫걸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요(凹)자로 움츠리는 감각(2) (0) | 2016.08.14 |
---|---|
사활과 묘수(맥)/요(凹)자로 움츠리는 감각(1) (0) | 2016.08.11 |
화점/두칸높은 협공정석에서 (0) | 2016.08.06 |
정석과 사활의 묘수(맥) (0) | 2016.08.03 |
제19형/제20형 (0) | 2016.08.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