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의 훈련
기술의 감각을 철저히 익히고 있으면, 한수 한수 둔 돌이 모두 제 역할을 감당하게 된다. 예를 들어.....
1도
평범하게 흑1의 마늘모로 붙이면 백2로 서는 수를 허용해서 좋지 않다고 여기고 있다.
2도
흑3으로 한칸 지켰을 때, 백4로 <이립삼전>의 원칙에 따른 이상적인 구축이 된다는 것이 그 이유이다. 그래서 불가피한 사정이 없는 한, <1도>의 흑1은 두지 말아야 한다.
그러나 상황에 따라서는 <1도> 다음.....
3도
흑1로 협공하는 수가 준엄하게 된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이처럼 흑이 무리인 줄 알면서도 공격 왔을 때, 백은 어떻게 응수하느냐 하는 문제이다. 상대의 무례함을 추궁하지 못하면, 바둑을 이길수 없는 것이다.
4도
이 흑에 대해서는 백1로 붙이는 것이 모양의 급소가 된다. 주위의 흑이 강력하다면, 흑A로 젖혀나와 백B에 흑C로 이어 저항하는 수가 염려된다(백D의 <축>으로 잡지 못할 경우). 계속해서.....
5도
흑2, 4 하는 정도일 것이다. 여기서 백5로 끊는 것이 지금까지 배운 끊는 수의 감각이다. 이어서.....
6도
흑1, 3으로 몰아 흑 두점을 포기하는 것은 문제가 안된다. 흑 두점을 잡은 백 자체가 안정되고 만다.
따라서 흑은 당연히.....
7도
흑6으로 단수한다. 이때 백은 <두점으로 키워서 버리라>는 격언대로 백7로 내려선다.
8도
흑8은 이 한수. 그러면 백9로 단수하여 흑으로 하여금 듣게 한다(이것이 두점으로 키워서 버리는 효과의 하나). 다시 계속해서.....
9도
흑10으로 잇지 않을 수 없으며 백은 11, 13하여 흑12, 14를 강요한다. 결국 백15로 이어서 일단락인데, 부분적으로는 백이 두터운 모습이어서, 처음 흑이 둔 무리수를 철저히 추궁한 것이 된다.
'기초공부 > 묘수첫걸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3형/제4형 (0) | 2016.07.05 |
---|---|
제1형/제2형 (0) | 2016.06.30 |
들여다보는 수 (0) | 2016.06.23 |
<2의 二>의 급소 (0) | 2016.06.18 |
<2의 一>의 급소 (0) | 2016.06.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