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배한잔과 안주반집

기초공부/묘수첫걸음

좌우동형의 중앙에 수가 있다

kimdong 2016. 5. 10. 14:21
728x90

좌우동형(左右同型)의 중앙에 수가 있다


  바둑 격언 중 <좌우동형은 중앙이 급소>는 말 그대로 한 가운데에 수가 나는 것을 말한다.



기본도

  백1의 곳이 바로 <좌우동형의 중앙>에 해당하며, 흑을 <파호(破戶)>치는 급소가 된다. 다만, 주위는 완전한 <좌우동형>이 아니다. 계속해서.....



1도

  흑2로 백을 넘지 못하게 방해하면 백3으로 넘어간다. 이렇게 되면 흑은 집을 확보하지 못한다. 반대로 흑3으로 막으면 백2로 넘어간다.

  실전에서 적이나 나의 모양에 <좌우동형>이 이루어지면 먼저 중앙에 수단이 있는가 없는가를 확인하는 것이 현명하다. 반드시 좌우가 <동형>이 아니라도 무방하다. 그러면 <기본도>의 백1 이외의 수는 어떻게 될까?



2도

  우선 백1, 3으로 젖혀 있는 수를 생각할 수 있다(백3의 호구잇는 수가 중요. 만약 백A로 꽉 이으면 흑은 무조건 산다). 이어서.....



3도

  백7로 흑8을 강요하고 9로 먹여처 <패>로 만들 수 있다.(백△의 호구로 이은 효과) 그러나 <기본도>처럼 무조건 잡을 수 있는 돌을 공연히 <패>로 만들 필요는 없으므로 실패이다.



4도

  백1도 생각할 수 있지만 이것은 대단히 복잡하다. 흑2, 4에 백5의 마늘모가 묘수. 흑12까지 진행된 후, 백A면 흑B로 끊어 결국 <패>싸움이 된다.


'기초공부 > 묘수첫걸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석작전  (0) 2016.05.20
조임수  (0) 2016.05.15
패쓰는 수  (0) 2016.05.05
장문  (0) 2016.04.29
몰아떨구기  (0) 2016.04.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