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배한잔과 안주반집

정석공부/정석 전략집

세칸에는 세칸이라면?

kimdong 2016. 2. 19. 16:19
728x90

세칸에는 세칸이라면?


문제도(흑선)

  한칸 협공에는 한칸뛰기, 두칸 협공에는 두칸으로 뛰라는 사고방식에서 말한다면 세칸 협공에는 세칸뛰기라는 식으로 착수해도 잘못된 것이 아닐런지도 모른다. 吳淸源과 橋本宇太郞(백)의 대국에서 이 형이 두어졌다.

  흑을 쥔 吳淸源9단은 여기서 어떻게 응하였을까?


[힌트] 맥에 명확하고 변화에 강한 흑의 착수를 찾아보자.

  평범하게 흑A 따위로 붙이는 것은 백B, 흑C, 백D, 흑E, 백F의 진행으로 모양을 허용하여 재미가 없다.(참고도1)


<참고도1>







1도(吳의 응수)

  吳淸源의 응수는 이 흑1이었다. 그리고 백A, 흑B라는 진행이 이루어졌다. 이 흑1에 백이 즉각 C로 밭전자의 한복판을 밟는 수는 흑D, 백B, 흑E, 백F로 되는 것이(참고도2) 필연이지만 그것은 4도와 마찬가지의 결과로 백이 좋지 않다는 것이 된다. 간명을 기한다면 1로는 G에 착수해도 좋다.



<참고도2>



2도(함정)

  흑1에 마늘모, 백2에 3으로 응하는 것은 백4의 붙임수를 당해 함정에 빠진 것이 된다.



3도(백, 만족)

  <2도>에서는 흑3으로 C의 곳이나 D의 곳으로 전환할 염려가 있으므로 백2로 바로 붙이는 것이 좋을 것이다. 흑3 다음 7까지로 되면 귀는 아직 뒷맛이 남으므로 백도 만족이다.



4도(비교)

  <1도>에서 백C로 둔 변화와의 비교. 백7은 A가 정해이다. 따라서 본 그림은 백이 나쁘다.


'정석공부 > 정석 전략집' 카테고리의 다른 글

뒤통수에 가하는 일격  (0) 2016.03.03
힘에 자신하는 속임수  (0) 2016.02.25
강인한 차단 작전2  (0) 2016.02.14
어느 쪽에서 단수를 할 것인가  (0) 2016.01.19
강인한 차단 작전  (0) 2016.01.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