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제2형(흑선)
제1형과 같은 형이다. 단, 흑이 ▲로 내려선 다음 백이 손을 뺀 장면이라고 가정하고 문제를 해결해 보자. 이렇게 흑▲으로 내려서기만 해도, 백에게는 위험 신호가 온 것이다.
그렇다면 백에게는 어떤 위험이 도사리고 있는가, 또 흑은 어떻게 두어야 수가 나는가, 하는 점을 철저히 읽고나서 착수해보자.
1도
흑1로 내려선 수에 대해서는 백2로 꼬부리는 것이 견고한 수비가 된다. 이것이라면 흑A로 꼬부려와도 백은 손을 뺄 수가 있다.
2도
또 백2의 곳을 지켜도 산다. 흑A에 백이 손을 빼어 흑B, 백C, 흑D, 백E로 해결.
3도(정해)
<제2형>다음, 흑1이 급소이다. 단, 백2일 때 이번에는 흑3으로 <마늘모>하는 것이 올바른 수이고, 백4로 두면 흑5의 <패>로 저항한다. 백이 아픈 모습이다.
4도
단, 흑1, 3으로 젖혀이어서 비로소 <본패>가 된다.
5도(백의 실착)
3도의 백4로 이렇게 1로 단수하는 것은 큰 실착이다. 물론 흑은 2로 이어서 좋다. 흑4면 백은 <자충>이 되어 그대로 죽는다.
6도
3도의 흑5로 직접 <패>의 모양으로 저항하는 수순이 중요한데, 이것을 그림처럼 흑1, 3으로 젖혀이으면 백4를 허용하여 <빅>이 될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기초공부 > 死活첫걸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4형 (0) | 2016.02.20 |
---|---|
제3형 (0) | 2016.02.12 |
화점/눈목자 정석에서 제1형 (0) | 2016.01.22 |
제2장 <사활>과 실전 (0) | 2016.01.17 |
만년패 (0) | 2016.01.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