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화점에서 눈목자로 구축하는 정석은 실전에 아주 흔히 쓰이고 있다.
제1형(흑선)
흑▲으로 젖혔음에도 불구하고, 백이 손을 빼었다. 백의 잘못을 추궁하려면 흑은 어떻게 두어야 하나?
원형도
화점 흑이 눈목자로 굳힌 곳에 백1로 침입하여 생긴 정석이다. 외세가 두터워지므로, 백은 신중히 침입할 기회를 포착해야 한다.
1도
이 형에서는 흑1의 젖힘수에 대해 백2로 지키는 수가 절대라고 할 정도로 필요하다.
2도(정해)
흑1의 치중이 급소. 백2로 젖히면 흑3으로 내려서서 4의 젖힘과 5의 연락을 맞보기로 삼는다. 백은 A로 두지 못하는 것이 아프다.
3도
흑1 하여도 <귀의 곡사궁>이 되어 백은 죽는다.
4도(참고)
흑1로 이쪽을 젖혀도 백이 손을 빼지 못한다. 백2 또는 백A로 지켜야 할 곳이다.
5도
만약 백이 손을 빼면 역시 흑1의 치중이 급소여서 백2에 흑3으로 죽는다. 이때 백2로 3의 곳에 껴붙여도 흑은 2로 내려서고 백A에는 흑B로 역시 백은 궁색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