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문제도(흑선)
우상과 우하의 백돌에 신경이 쓰인다. 흑의 공방의 요처는 어디가 될까?
한밭 차이라도 소홀하게 할 수 없는 급한 상황이다.
정해도(급소에 선착)
우변 백△을 쉽게 탈출시켜 주면 안된다. 우변에서 흑1로 벌리면서 협공을 겸한 수가 좋다. 그 다음에 흑은 상변에서 A로 모행마 하는 것이 날카롭다. 백B로 먼저 뛰면 흑C로 우변 백△을 잡을 준비를 한다. 백D로 붙이면 흑E, 백F로... 흑1이 멋진 수다.
1도(한밭 차이)
<정해도> 흑1에서 한밭 차이만 나도 백△ 한점이 살기 쉽다. 또 흑A의 일자 뜀도 백1로 산다.
2도(방향 착오)
우하귀 흑1로 붙이는 것은 방향 착오. 백2로 젖히면서 8까지 우변이 안정되며, 또 백10이 급소로 흑A, 백B, 흑C, 백D로 흑이 고전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