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배한잔과 안주반집

양단수 2

수근대사전 제134

문제도(흑선) 중앙 흑백의 아슬아슬한 접전. 백5점은 흑 3점을 잡을 수 있지만 우변 백진의 맛이 나쁘다. 백 5점을 잡거나 우변을 깨면 흑의 성공이다. 정해도(3점 부활) 흑1로 두점으로 키워 사석으로 버리는 것이 맥이다. 백2로 잡혀 그만인 것 같지만 흑3의 단수가 듣기 때문에 중앙을 선수로 처리하고 흑5로 흑 3점을 부활한다. 상변은 온전히 흑집. 변화도 백2의 연결에는 흑3.백4로 끊어도 흑5, 7로 백망. 백2로 3은 중앙 흑 3점은 잡히지만 흑2로 끊어 양단수. 흑은 우변의 백 2점을 잡아 충분하다.(아래 참고도) 참고도

문제41

문제도(흑선) 흑은 어떻게 백의 결함을 이용하여 포위된 자신의 흑 석 점을 구할까? 실패도 흑이 백의 약점을 간파했다. 그러나 구체적인 수단은 고려하지 않고 있다. 흑1로 꼬부리고 3으로 끊는 것은 잘못된 수순이다. 백6까지 흑이 잡힌다. 변화도 흑1 다음 흑3으로 귀 쪽을 젖혀도 아무 소용이 없다. 백8까지 흑은 귀에서 살지 못한다. 정해도 먼저 흑1의 절단이 정확한 순서다. 백은 2로 잇는 것이 현명하고 흑은 3으로 이은 후 백 두 점을 잡고 무사히 탈출한다. 정해변화도 흑1 절단 때, 백2로 완강하게 저항하면 흑3, 5로 양단수. 백은 무너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