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기본형(흑선)
흑1, 3으로 나가 끊은 것은 예리한 노림수가 있기 때문이다. 풀어나가는 수라기보다는 싸움을 위한 맥의 다음 한수는? 다만 흑A에 시작해서 제2선을 질질 기는 것은 문제가 있다.
1도(최악)
흑1, 3으로 위에서 밀어가는 것은 최악. 수레의 뒤밀어 주기에 불과하다.
2도(위에서 활용한다면)
위에서 활용하고 싶으면 차라리 흑1로 씌우는 것이 낫다. 그러나 이것도 후속수가 없어 많이 아쉽다.
3도(강한 맥점)
흑1로 코붙이는 것이 강수. 백2로 나가면 흑3으로 건너 귀의 백과 바깥쪽 백을 노린다.
4도(빈틈없이)
백2면 흑3으로 빈틈없이 막아 두면 <호형>이 된다. 백A면 흑B로 늘어 흑이 즐겁다.
5도
백1로 끊지 않을 수 없다. 흑2를 결정짓고 4로 뛴 다음 백5에는 흑6으로 공격하면 흑이 크게 유리하다.
바둑은 자기 돌이 우세한 곳에서는 풀어나간다는 마음가짐이 아니라 상대방을 싸움으로 유도하는 적극성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