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배한잔과 안주반집

맥(手筋)공부/行馬의妙

93문

kimdong 2020. 8. 28. 23:27
728x90

문제도(흑선)

 

  A, B 두 곳 중에 백은 반드시 한 곳을 둬야 하기 때문에, 좌하귀 흑 넉점의 처지가 매우 어렵다. 그러나 사실 흑은 곤란한 상황에서 벗어나는 수단이 있기 때문에 자세히 생각해야 한다.

 

 

 

 

 

 

 

 

 

 

 

 

 

 

 

 

정해도

 

  흑1에 끄는 수가 정답이라는 것은 매우 간단한 것이지만, 그다음의 변화가 중요 포인트다. 백2의 뜀은 필연, 흑3으로 파고들고 5로 먹여치는 것이 상용의 맥. 7로 막고 백8로 젖혀올 때, 흑9의 마늘모가 교묘하다. 백10으로 파호하면 흑11로 <패>를 만든다.

 

 

 

 

실패도

 

  흑3으로 찌르고 난 뒤 곧바로 흑5에 막는 것은 수순 착오. 이때 백6으로 잇는 수가 냉정하고 교묘하다. 이후 흑이 아무리 발버둥 쳐도 두 <눈>을 만들 수 없다.

 

 

 

'맥(手筋)공부 > 行馬의妙' 카테고리의 다른 글

95문  (0) 2020.09.22
94문  (0) 2020.09.14
92문  (0) 2020.08.25
91문  (0) 2020.08.20
90문  (0) 2020.08.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