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잡고 난 뒤의 흔적(모양)을 잘 생각해보자.
우선 백1로 한 칸 뛴다. 흑2로 끊어오면 백3으로 꼬부리는 수가 기이한 好手. 그런데, 흑4, 6으로 백 넉점을 잡고 나면 얼핏 <패> 형태로 보이는데.....
백7로 끊고 9에 단수, 흑10으로 다섯 점을 잡으면,
백11로 흑 석점을 잡는다. 따낸 모양은 아래와 같은데.....
공배 X가 있어 A, B 맞보기로 삶에 여유가 생겼다. 또한 <정해도> 백3의 꼬부림 대신 4로 나가면 무조건 잡힌다.
백1로 잇는 수는 백3부터 흑4, 6으로 <패>가 된다. 흑4로 5에 끊는 것은 백4로 두어 <후절수>로 산다.
백1로 모양을 갖추는 것은 실패. 흑2로 끊고 백3, 5면 흑6에 바로 단수가 걸려서 두눈을 만들 여유가 없다. 백3으로 6은 흑5의 마늘모로 백이 살지 못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