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초공부/묘수첫걸음
<2의 二>의 급소
kimdong
2016. 6. 18. 12:29
728x90
<2의 二>의 급소
<2의 一>과 같은 계통의 급소가 <2의 二>인 것이다.
물론 주위의 모양의 차이에 따라 분류되겠지만, 이 급소를 두는 묘수도 참으로 흔하며, 또 효과적인 경우도 대단히 많다. 역시 <귀의 특수성>이라는 점에 요약될 것이다.
기본도
흑1의 <배붙임 수>가 역시 <2의 二>의 급소에 해당한다.(<배붙임 수> 참조)
1도
만약 이 形에서 속되게 흑1, 3으로 젖혀잇는 것은 백2, 4를 허용해서 흑 두점은 구출불가능이다(여기서 백4로 내려서는 맥도 기억해 둘 것. 백4로 A에 붙이면 더욱 확실하지만, 흑4로 젖히는 수가 있어서 백B로 잡는 것은 실리로 손해이기 때문이다).
흑이 구제받지 못할 뿐만 아니라 모처럼 잡을 수 있는 백도 놓쳤으므로 그 차이는 너무나 크다.
백2로 막았을 때.....
2도
흑3으로 강력하게 이단 젖히는 수는 있다. 백4에 흑5의 <패>로 저항하려는 것이 이 <이단 젖힌 수>가 노리는 것이다. 그러나 귀찮게 <패>를 만들지 않아도 <기본도>의 흑1로 쉽게 백을 잡을 수 있으므로 이 그림은 실패이다.
3도
<기본도>에 계속해서, 만약 백2로 차단하면, 흑3으로 넘어 <수상전>은 흑이 이긴다. 이 다음 백이.....
4도
백4로 단수하여도 흑5로 이으면 그만이다.